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○ 일하고 싶고, 존경받는 기업<BR><BR>유한킴벌리는 올해 초 한국능률협회컨설팅(KMAC)이 주관한 ‘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’ 조사에서 3위에 올랐다. 삼성전자가 1위, 포스코가 2위였다. 두 회사의 연간 매출액은 각각 121조 원, 41조 원 정도다. 유한킴벌리의 뒤를 이은 LG전자 역시 연간 매출 규모가 63조 원대다. 반면 유한킴벌리는 연간 1조 원대의 매출을 올린다. 규모면에서 수십, 수백 배의 회사와 어깨를 나란히 한 셈이다.<BR><BR>한 취업포털 업체가 최근 실시한 ‘일하고 싶은 기업’ 조사에서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. 삼성전자, 국민은행, 유한킴벌리, SK텔레콤, 포스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. 김중곤 유한킴벌리 사장(59)은 이 같은 외부 평가에 대해 “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기업의 장기적 가치와 지속가능경영의 안정성을 높였기 때문이 아니겠느냐”고 해석했다. 대표적으로 유한킴벌리는 ‘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’란 슬로건의 환경보전 활동을 26년째 지속하고 있다. <BR> 더욱 고무적인 현상은 외부뿐만 아니라 회사 내부의 만족도 역시 최고 수준이다. 지난해 기준으로 유한킴벌리의 이직률은 0.2%였다. 일반적으로 재계에서 한 자릿수 이직률이 최저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제로(0)에 가까운 수치다. 또 이 회사의 지속가능성보고서에 따르면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‘우리 회사에 근무하는 것에 만족한다’는 응답이 95.0%였다. ‘우리 회사는 장수기업이 될 것인가’란 질문에도 96.6%가 긍정적인 응답을 했다.<BR><BR>김 사장은 “이 역시 즐겁게 일할 수 있는 기업문화 덕분”이라고 답했다. 이 회사는 ‘평생학습 기반의 4조 2교대’란 근무 형태를 운영한다. 직원 중 절반 이상인 공장 기능직 사원들이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4일은 12시간씩 일하고 나머지 4일(공휴일 포함)은 쉬는 형태다. 김 사장은 “직원들이 한 번 입사하면 나갈 생각을 안 한다. 결혼까지 사내에서 많이 한다. 임원 회의를 하면 각 부문 부사장끼리 서로를 ‘사돈’이라 부를 정도다. 소속 직원들끼리의 성혼이 많기 때문이다”라고 설명했다.<BR> <P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